아래는 2025년 기준 새희망홀씨 대출 은행별 주요 우대금리 조건의 비교표입니다. 나에게 해당되는 우대항목을 체크해보면, 가장 절약할 수 있는 은행이 어디인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은행 | 최대 우대금리 | 주요 우대 항목 |
---|---|---|
하나은행 | 최대 1.5% | 급여이체 0.4%, 제휴카드 0.3%, 적금·청약 0.2%, 취약계층·청년·고령 등 0.1~0.2% (banksalad.com) |
국민은행 | 0.5% + 0.1% | 기초수급·한부모·장애인 등 0.5%, 청년·고령·교육 0.1% |
IBK 기업은행 | 최대 1.4% + 0.3%/년 | 취약계층 1.4%, 성실상환 감면 연 0.3% |
SC제일은행 | 1.1% + 2.0% | 영업점 신규 1.1%, 모바일 0.8%, 성실상환 연 최대 2.0% |
신한은행 | 2.5% + 2.0% | 취약계층 0.2% (최대 2.5%), 성실상환 연복리 최대 2.0% |
농협은행 | 0.2% | 청년·고령 우대 0.2% |
수협은행 | 0.2% + 성실상환 0.2% | 취약계층 0.2%, 청년·고령·교육 0.2%, 성실상환 분기별 0.2% |
경남은행 | 1.0% + 2.0% | 취약 및 청년 등 0.1%, 교육 0.2%, 한시 0.5%, 성실상환 최대 2.0% |
광주은행·제주은행 | 최대 1.0% + 2.0% | 취약 및 청년 등 0.1~0.2%, 성실상환 연 0.5%씩(최대 2.0%) |
✅ 한눈에 보는 유리한 은행
- 신한은행: 취약계층 우대 최대 2.5% + 성실상환 최대 2.0% = 최대 4.5% 우대 가능
- SC제일은행: 신규시 1.1% + 성실상환 2.0% = 최대 3.1%
- IBK: 우대 1.4% + 성실상환 0.3% = 1.7%
- 하나은행은 거래 실적과 취약계층 우대를 모두 챙기면 1.5%까지 우대 가능
🔍 추천 포인트
- 신한은행은 취약계층이라면 우대폭이 커서 가장 혜택이 큽니다.
- SC제일은행은 모바일 신청만으로도 추가 우대가 붙어 실속형.
- IBK는 안정적 기준으로 중간 우대 수준.
- 하나은행은 급여이체·카드 등 거래 실적이 좋다면 합산 우대 가능.
📌 다음 단계를 위한 팁
- 내가 어떤 우대 항목(급여이체, 카드, 취약계층 등)에 해당하는지 확인하세요.
- 적합한 은행을 기준으로 한 금리 시뮬레이션을 인터넷·모바일뱅킹에서 체크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 신청은 비대면과 영업점 중 어떤 창구에서 신청할지 따져보세요. (예: 모바일 우대 있는 SC, 비대면만 허용하는 하나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