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의 미적 거리와 카타르시스 이해하기

아리스토텔레스,미적거리,시학

아리스토텔레스는 ‘미적 거리(Aesthetic Distance)’라는 용어를 직접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그의 비극 이론, 특히 카타르시스(Catharsis) 개념을 통해 미적 거리와 유사한 개념을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와 카타르시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 **『시학(Poetics)』**에서 비극의 목적이 “연민(pity)과 공포(fear)를 통해 그러한 감정의 카타르시스를 달성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여기서 카타르시스는 단순한 감정의 배출이 아니라, 감정을 정화하고 승화시키는 경험을 의미합니다.

이 카타르시스를 위해서는 관객이 극 중 사건에 완전히 몰입하는 동시에, 그것이 ‘현실이 아닌 예술 작품’임을 인지하는 적절한 거리가 필요합니다. 만약 관객이 극을 실제 현실처럼 받아들여 버리면, 연민과 공포가 너무 강해져 압도당하거나 충격을 받아 감정의 정화가 아니라 고통만 남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너무 거리가 멀면, 아무런 감동이나 공감을 느끼지 못하게 됩니다.

미적 거리의 개념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관련성

후대의 미학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카타르시스 이론을 바탕으로 미적 거리(Aesthetic Distance) 또는 **심리적 거리(Psychical Distance)**라는 개념을 발전시켰습니다. 이 개념은 예술 작품을 감상할 때 감상자가 가져야 할 객관적이고 비실용적인 태도를 의미합니다.

  • ‘거리 두기’의 필요성: 예술 작품을 감상할 때, 우리는 그것이 현실과 분리된 ‘허구’임을 인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극장에서 악당이 칼을 휘두를 때, 우리는 무서워도 실제로 뛰쳐나가거나 경찰에 신고하지 않습니다. 이는 우리가 극이 ‘가짜’임을 알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감상자가 작품 속 사건에 직접 개입하지 않고, 일정한 심리적 거리를 유지하면서 감상하는 것을 ‘거리 두기’라고 합니다.
  • ‘몰입’의 필요성: 그러나 단순히 거리를 두는 것만이 능사는 아닙니다. 작품 속 감정과 서사에 충분히 몰입하여 연민, 공포, 기쁨, 슬픔 등의 감정을 느껴야 합니다. 너무 거리를 두어 몰입하지 못하면 예술적 경험 자체가 불가능해집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에서 보자면, 카타르시스를 일으키기 위한 최적의 상태는 바로 이 적절한 미적 거리가 유지될 때 발생합니다. 관객은 극 중 인물에게 공감하며 연민과 공포를 느끼지만, 동시에 그것이 ‘자신에게 직접적으로 일어나는 일이 아님’을 인지함으로써 감정에 압도당하지 않고 정화의 경험에 이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요약하자면:

아리스토텔레스는 ‘미적 거리’라는 용어를 직접 사용하지 않았지만, 그의 비극 이론에서 **’연민과 공포를 통한 카타르시스’**를 강조하면서, 이를 위해 관객이 작품에 몰입하면서도 동시에 그것이 허구임을 인지하는 ‘적절한 심리적 거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내포하고 있었습니다. 이 ‘적절한 거리’는 오늘날 미학에서 말하는 ‘미적 거리’의 초기 개념적 토대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